sns공유 및 URL복사 및 인쇄 열기
예산결산위원회 > 용어사전
검색결과 설명
BIS자기자본비율(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Capital Ratio)
일반적으로 자기자본비율은 총자산 중에서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기업 재무구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가장 대표적 지표로 사용되고 있음. 

자기자본은 직접적인 금융비용을 부담하지 않고 기업이 장기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안정된 자본이므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표준비율은 50% 이상으로 보고 있음. 

한편, 최근 IMF 경제위기를 계기로 보다 일반화된 단어인 은행의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은 은행의 위험가중 자산에 대한 자기자본의 비율을 말함. 

1987년 제정된 국제결제은행(BIS)의 국제통일기준에서는 금융의 자유화, 국제화에 따라 국제적인 경쟁조건의 평준화 및 건전성 규제의 필요성이 높아지자 8%의 최소자기자본비율 제도를 도입하였고 국제금융시장에 참여하는 은행들은 1992년 말까지 이를 충족시킬 것을 요구하였음. 이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제정 당시에는 은행의 다양한 경영리스크 중 신용리스크만을 감안하여 제정되었으나 금리·환율 및 주가 등의 변동이 은행경영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증가됨에 따라, 바젤위원회는 1996년 1월 시장리스크를 감안한 새로운 자기자본비율 기준을 정하여 1997년 말부터 회원국에 대하여 그 적용을 권고하고 있는데, 이를 신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라 함. 

신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의 특징은 첫째, 은행 보유자산을 시장리스크 대상과 신용리스크 대상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 별도의 기준에 의해 필요자기자본규모를 산정토록 하였고 둘째, 시장리스크에 대하여도 자기자본을 보유토록 함에 따라 일정조건을 충족하는 단기 후순위채를 자기자본(Tier Ⅲ)으로 추가 인정하였음. 

IMF 경제위기시 우리나라의 대다수 금융기관들은 기업부문의 부실과 자체 자금운영의 부실로 인해 전체적인 부실채권이 증가함에 따라 이 BIS비율이 국제기준인 8%에 미달해 상당수 퇴출 · 합병 및 심각한 구조조정을 겪어야 했는데, 그 결과 2002년 3월말 현재 생존해 있는 은행권의 BIS비율이 극심한 경기침체 속에서도 11.6%로 여타 선진국 수준에 이르고 있음.